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학 개론 정리)_ haffiness

교육학의 특징과 외재적 목표 및 내재적 목표

by 해vl니스 2024. 5. 30.
반응형

교육학의 특징과 목표 무엇인가

교육학을 하는 것에 있어서 그 본질은 당위적 또는 규범적 진술에 의해 표현이 된다. 예를 들어, 교육이라는 것은 인간의 균형적인 성장을 도울 수 있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의미와 교육은 항상 정치적인 부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의미는 모두 교육의 특징들을 뜻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자는 규범적인 이해를 위한 의미이며, 후자는 사실적 기술의 의미다. 교육한다는 것은 어떠한 가치 체제 또는 그 가치를 지향하는 것으로, 교육의 본 개념은 규범적 이해의 방식에 따라 파악될 수밖에 없다.

 

교육의 규범적 이해는 교육제도 또는 행위의 과정에서 추구되는 가치 체제 혹은 그 가치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규범적 이해 방식에 따라서 교육 개념이 분명하게 되었을 경우 교육의 목표 또한 당연히 밝혀질 수밖에 없다. 교육의 목표는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가치의 궁극적인 형태이고 규범적인 이해는 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이 지향하는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학의 특징과 외재적 목표 및 내재적 목표
교육학의 특징과 목표

◆ 교육학의 개념 그리고 목표

본래 교육의 목표는 규범적 개념 속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교육의 제도나 행위가 교육 그 자체의 목표에 따라서만 계획되진 않는다. 교육의 본래 개념 속에 포함된 목표를 내재적 목표라고 하며, 교육 외부로부터 주어진 목표의 통제를 교육이 받게 될 때 그 목표를 외재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외재적 목표와 내재적 목표의 관계에 대해서는 적어도 다음 2가지 사항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외재적 목표와 내재적 목표 사이의 고려 사항

첫 번째는 교육의 제도나 행위는 그 어떠한 것이든지 간에 사실상 내재적 목표만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상적인 행동에서도 무엇을 하고자 할 때는 거의 늘 부차적인 또는 부수적인 의도나 동기가 뒤따르듯이 교육에도 부수적인 외재적 목표들이 따를 수 있다. 교육 그 자체로의 목표만이 아니라 때로는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인 목표 등이 뒤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교육은 다른 어떠한 것의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외재적인 목표가 내재적인 목표를 주도해 버리면, 교육은 그저 수단으로써의 의미가 강조되어 버린다. 

두 번째는 교육의 규범적인 의미, 즉 교육하는 것에 있어서 지향해야 할 가치 체제 혹은 그 가치는 자연적으로 또는 객관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이라고 하기는 어렵고 오히려 해당 가치관에 따른 결정이나 선택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육학의 규범적 의미를 부여할 때 어떠한 가치관이 작용하게 되고 그러한 가치관을 교육관이라고 한다. 

 

 

◆ 수단 그리고 목표로서의 교육학 

내재적인 목표를 중시하는 교육학에서는 교육을 다른 것의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의 목표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이 말은 얼핏 듣기에 아주 어색하게 느껴진다. 왜냐면 교육은 어떤 의미에서든지 그 자체로서 목표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항상 가능하기 때문이다. 교육이 그 자체로서 목표를 가진다는 의미는 그것이 다른 어떠한 것을 위한 수단으로써 유용해서가 아니라 단지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가 있다는 뜻이다. 어떻게 그 자체로서 교육이 가치가 있는 것일 수 있을까? 또한 다른 것들의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떠한 것들에도 봉사할 수 없다는 뜻을 내포하고, 오히려 교육을 제외한 다른 많은 것들이 교육에 대해 수단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이 그 자체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말은 더욱더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렇다면 그 자체로서 교육은 목표일 수가 없는가? 교육의 목표가 되는 가치는 궁극적 가치, 즉 더 이상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수단으로써  봉사할 수 없는 최고의 가치는 아니다. 교육의 목표는 그것이 아무리 초월적인  것으로 설명된다고 하더라도 인생의 목표를 초월하여 가치 있는 것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교육은 본질적인 가치를 가진다거나 내재적인 목표를 지닌다거나 하는 말이 참되게 의미를 가지려면 특별한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러 상황 속에서 따져봤을 때, 교육은 그 자체가 수단이 되는 것이 아니라 목표라는 말은 사회제도 역할 속에서의 교육을 두고 이야기할 때 해당하는 것이다. 즉 군사, 경제, 군사, 종교 등의 여러 다른 제도적 부문에 대하여 수단의 입장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의 목표를 지닌 제도적인 부문이라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교육학 그리고 도구주의적 관점

교육에 대한 도구주의적인 관점을 지닌 이들은 교육을 다른 제도적 부문 특히 종교, 경제, 정치, 군사 등의 수단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어떤 종파의 이상을 실현하는 교육, 부국강병의 목표에 봉사하는 교육,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 정치적 목표의 실현을 위한 교육 등으로 받아들여지게 되고 각종 슬로건들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물론 현대적 사회 속에서는 제도적인 부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기능적으로 상호의존하는 관계에 있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교육을 다른 제도적 부문에 대한 수단으로만 받아들이게 된다면 교육 그 자체의 일관성 또한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회와 인간에 대하여 진정으로 봉사할 수 있는 본연의 역할마저도 상실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물론 교육은 다른 제도적인 부분의 도움을 받는 정도로만 또는 그 이상으로 봉사하는 수단으로써의 의미일 수 있다. 즉 교육학이라는 것은 종교, 경제, 정치, 군사 등에서의 필요에 의해 여러 형태의 방식으로 봉사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교육은 다른 어떤 제도적 부문보다도 사회의 이념과 인간의 목표를 실현하는 부분에 있어서 더 중요한 자리에 자리 잡고 있다. 적어도 교육은 인간의 유의미한 삶의 조건과 사회적 이상의 실현에 대하여 가장 궁극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추구하는 일을 본질적인 기능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loading